Anxiety and dynamics of incompleteness
Yoon, du hyun
Hong, sung chul has closely watched ‘anxiety’ in the underlying ground of human life, which was resulted from innate incompleteness. He regards this anxiety one of living conditions as well as a traction engine for our dynamic life. His keen interest in anxiety was expressed generally and consistently through various media and shapes such as strings, images, performances and recent LCD unit works.
He took a picture of parts or whole human body, printed it out on strings. Then, he reconstructed layers of strings on different levels. That is, He transformed one-dimensional images on the photo into stereoscopic figures. In the era of high technology, rapid development and spread of visual media diminished the power of ‘the one and only’ originality. It also realized, so-called, ‘Democracy of images’ and ushered the era of ‘more realistic than reality’ imagination. In this context, He tried to reveal incompleteness of media which distort the reality and reduce the reality to an object of imagination, by creating string works which depict the fact of its own.
However, He did not realize the image in a complete shape, instead left some room for people to interact with his works and finish them, by showing the image on loose layers of strings. By doing so, when people see the body image on his string works, they need to interact to fill the rest part of unfinished works. As a result, people who face his work need to move their body as if they dance in order to figure out the image on the strings. This activity has its root in men’s willing to finish their job. Those interactions engaged in his works are the same as reconstructing the blurry images. They are noteworthy in that those activities show an eager for an order that incomplete human beings have.
Both of threads in the past his Installation arts and strings in the current works consist of one pillar of his artwork. Another pillar is LCD unit works he recently started. Small LCD units on his works are incessantly going on and off, reacting sensitively to amounts of light. Important here is not that he adopted high-tech media to his works, but that he created reflection on him by adopting the media.
Casual and unintentional rhythms of LCD units, in itself, are our existential condition of human life which are full of absolute incompleteness. However, ironically, people would not feel anxiety in the face of irregular reflections of light on his works. Rather, they would feel hope or warmness. It is in the same context that we see death a fiesta for a fresh start, not the end of life. At this point, the media in the works finally abandon its cold mechanic features and become new comfortable tools which bring into new life. In this regard, unlike the first impression, his works have a significant depth of narrative structures.
In addition to this, “Mirrors”– the title of his string or LCD unit works provides people with an important access to his works. A close look on these aspects will give people an understanding that he tried to look inside of his and other people in his works and he did not pursue the simple visual amusement.
——————————————————————————————-
불안과 미완의 역동성
윤두현
홍성철은 우리의 삶에 내재되어 있는 존재론적 불완전성으로부터 기인하는 ‘불안(anxiety)’에 주목해 왔다. 더욱이 그는 불안을 인간의 실존적 조건으로서 포용할 뿐 아니라 역동적 삶을 추동하는 주요한 원동력으로 파악한다. 작가의 이런 관점들은 전형적인 조각 작업뿐만 아니라 줄, 영상, 퍼포먼스 등을 비롯해 지난해부터 새로 시작한 LCD 작업에 이르기까지 여러 매체와 형식을 통해 총체적이면서도, 일관되게 표출되어 왔다.
신체의 일부나 전체, 즉 인간의 몸을 사진에 담아내고 이를 줄(string) 위에 프린트한 후 여러 겹의 레이어로 재조합한 작품들은 일차적으로 사진에 의해 환영화, 평면화된 형상들을 다시 입체화하는 작업이다. 이른바 하이테크 시대에 사진, 영상 매체의 급격한 발달과 확산은 원본의 아우라를 해체하면서 무한 복제에 따른 ‘이미지의 민주화’와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가상현실의 범람을 불러왔다. 이런 맥락에서 홍성철의 줄 작업에는 실제를 사실적으로 재현하지만, 그럼으로써 오히려 실제를 왜곡하고 가상의 대상으로 전락시키고 있는 미디어의 불완전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작가의 전략이 숨어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작가는 최종의 이미지를 완전한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미완인 채로 남겨둔다. 이로써 겹겹의 줄 위에 가시화된 신체는 보는 이로 하여금 그 미완의 틈을 메우기 위한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요구한다. 누구든 작품 앞에 서면 마치 춤을 추듯 움직이게 되는 것은 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무엇보다 그의 작품에서 이뤄지는 일련의 상호작용은 궁극적으로 초점이 흐려진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것과 같이 불완전성 속에 존재하는 질서의지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이 지점에서 우리는 불안과 역동성의 상징적 대비를 발견하게 된다.
비교적 초기의 공간설치에서부터 활용되었던 실부터 현재의 탄성줄(elastic cord)에 이르는 일련의 줄 연작들이 홍성철 작업의 중요한 한 축이라면, 또 다른 한 축은 최근에 새롭게 선보이고 있는 LCD 작업이다. 소형 LCD 유닛을 집적시킨 작품들은 빛의 세기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며 불규칙적으로 점멸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가 작품 속에 첨단의 미디어를 적극 끌어들이고 있다는 점이 아니라, 미디어를 끌어들임으로써 그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이끌어 낸다는 점이다.
각각의 유닛들이 빛에 반응하며 보여주는 우연적인 리듬은 곧 그 자체로 불완전성의 토대 위에 서 있는 우리의 존재론적 조건으로써 치환될 수 있다. 그리고 정작 비규칙적인 점멸 앞에서 아마도 우리가 느끼는 감정은 불안이 아니라, 희망 내지 따뜻함의 연속일 듯하다. 우리의 삶에서 죽음이 곧 단절이 아닌 새로운 시작을 위한 즐거운 축제의 장의 될 수 있는 것 역시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지점에서 작품 속으로 소환된 미디어는 이제 무생명의 차가운 기계성을 벗고, 생명성을 변주하는 따뜻한 미디어로 전환된다. 이는 차가운 미디어에 전혀 다른 관계와 사유를 부여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런 점에서 맥루한이 “새로운 매체는-‘사상’과 ’관계‘의 새로운 형식들이 지닌 가능성을 포착하는 데 있어서-시대를 앞서 가는 예술가들에 의해서 가장 잘 이해되고 탐구된다”라고 했던 것은 결코 틀린 말이 아니다. 그의 작품들이 생각과 달리 상당한 무게의 서사적 구조를 담고 있는 것도 바로 그와 같은 차원에서다.
아울러 작가가 줄 혹은 LCD 작업들 각각의 명제로써 제시하고 있는 이른바 ‘거울’은 관객이 나의 작품에 접근하는 데 있어 하나의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준다. 또한 이를 주의 깊게 살펴본다면 그가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지향점이 시각적 유희에 머무는 형식적 차원이 아니라 나 자신, 나아가 관객들의 내면을 들여다보고자 하는 데 이르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을 것이다.